fnctId=bbs,fnctNo=16580 RSS 2.0 10 건 게시물 검색 제목 작성자 게시글 리스트 「마스무라 야스조의 혁신과 와카오 아야코의 저항 : 전후 일본 사회에서의 욕망하는 개인, 작성자 김채희 조회 16 첨부파일 0 작성일 2023.10.23 『영화와 문화냉전』 북토크 작성자 김채희 조회 28 첨부파일 0 작성일 2023.07.20 부산대학교 영화연구소 정기 콜로키움 CINE-NETWORK ON (시네-네트워크 온)부산대학교 영화연구소는 ‘포스트 냉전 이후 초연결 시대의 동아시아 영화-네트워크’ 연구사업을 진행하고 있으며,이를 위한 개념 인식의 기초적 토대를 마련하기 위하여 CINE-NETWORK ON 영화 강연 시리즈를 정기적으로 개최해오고 있습니다.이번 CINE-NETWORK ON에서는 홍콩 링난대학교의 이상준교수님을 모시고, 『영화와 문화냉전』 북토크를 진행하고자 합니다.관심있는 많은 분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부탁드립니다. ◆ 일 시 : 2023년 8월 3일(목) 오후 3:00 ◆ 장 소 : 부산대학교 새벽벌도서관 러닝커먼스◆ 문 의 : 부산대학교 영화연구소 (cinema@pusan.ac.kr / 051-510-7391)◆ 주최/주관 : 부산대학교 영화연구소 - 부산대학교 도서관◆ 후 원 : 대한민국 교육부 - 한국연구재단 「영화에서 비평이라는 고백: 사랑, 저항, 하지만 더 나쁜」 작성자 강지원 조회 58 첨부파일 0 작성일 2023.06.15 부산대학교 영화연구소 정기 콜로키움 CINE-NETWORK ON (시네-네트워크 온)부산대학교 영화연구소는 ‘포스트 냉전 이후 초연결 시대의 동아시아 영화-네트워크’ 연구사업을 진행하고 있으며,이를 위한 개념 인식의 기초적 토대를 마련하기 위하여 CINE-NETWORK ON 영화 강연 시리즈를 정기적으로 개최해오고 있습니다.이번 CINE-NETWORK ON에서는 정성일 평론가 님을 강연자로 모시고자 합니다. 이 강연은 “영화에서 비평이라는 고백: 사랑, 저항, 하지만 더 나쁜”이라는 주제를 가지고 평론가님이 지녀 오신 비평, 담론, 시네필 문화에 대한 질문들을 다루게 될 예정입니다.관심있는 많은 분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부탁드립니다. ◆ 일 시 : 2023년 6월 26일(월) 오후 4:00 ◆ 장 소 : 부산대학교 성학관 102호◆ 문 의 : 부산대학교 영화연구소 (cinema@pusan.ac.kr / 051-510-7391)◆ 주최/주관 : 부산대학교 영화연구소 - 예술문화영상학과◆ 후 원 : 대한민국 교육부 - 한국연구재단 「현대 영화에서 배우의 존재론」 작성자 강지원 조회 44 첨부파일 0 작성일 2023.03.28 부산대학교 영화연구소 정기 콜로키움 CINE-NETWORK ON (시네-네트워크 온) 포스트 냉전 이후 초연결 시대의 동아시아 영화-네트워크 연구에 대한 개념 인식의 기초적 토대를 마련하기 위해 부산대학교 영화연구소는 정기 콜로키움 CINE-NETWORK ON 「현대 영화에서 배우의 존재론」 (유운성, 영화평론가) 를 개최했습니다. ◆ 일 시 : 2023년 2월 6일(월) 오후 4:00 ◆ 장 소 : 부산대학교 성학관 102호◆ 문 의 : 부산대학교 영화연구소 (cinema@pusan.ac.kr / 051-510-7391)◆ 주 최 : 부산대학교 영화연구소 - 예술문화영상학과◆ 주 관 : 부산대학교 영화연구소 - 예술문화영상학과◆ 후 원 : 대한민국 교육부 - 한국연구재단 「도망치는 영화 : 2010년대 이후 홍상수 영화의 미니멀한 구조와 네트워크」 작성자 김채희 조회 88 첨부파일 0 작성일 2023.01.13 부산대학교 영화연구소 정기 콜로키움 CINE-NETWORK ON (시네-네트워크 온) 포스트 냉전 이후 초연결 시대의 동아시아 영화-네트워크 연구에 대한 개념 인식의 기초적 토대를 마련하기 위해 부산대학교 영화연구소는 정기 콜로키움 CINE-NETWORK ON 「도망치는 영화: 2010년대 이후 홍상수 영화의 미니멀한 구조와 네트워크」 (이선주, 부산대학교 학술연구교수) 를 개최합니다. 이 강연은 동시대 복잡성 서사 영화의 지형 속에서 2010년대 이후 홍상수 영화가 갖는 새로움과 확장성을 미니멀한 구조와 네트워크의 관점에서 질문해보려 합니다. 현대 서사학의 어느 갈래에도 온전히 분류되지 않고 탈주하며 때로는 ‘아시안-미니멀리즘’(데이비드 보드웰)의 다른 동아시아 감독들과의 공통점과 변별점 속에 자리 매김하면서, 자신만의 독특한 ‘최소 내러티브 영화’의 비가시적 세계를 확장 중인 홍상수 영화를 다룰 예정입니다.관심있는 많은 분들의 적극적인 참여 부탁드립니다.◆ 일 시 : 2022년 12월 1일(목) 오후 4:30 ◆ 장 소 : 부산대학교 예술관 241호◆ 문 의 : 부산대학교 영화연구소 (cinema@pusan.ac.kr / 051-510-7391)◆ 주 최 : 부산대학교 영화연구소 - 예술문화영상학과◆ 주 관 : 부산대학교 영화연구소 - 예술문화영상학과◆ 후 원 : 대한민국 교육부 - 한국연구재단 21세기 영화 이론의 쟁점들: 영화학 특별 강연 작성자 강지원 조회 83 첨부파일 0 작성일 2022.09.24 21세기 뉴미디어 시대를 맞아 영화 이론은 새로운 변화와 도전에 직면해 있습니다. 지난 130년간 영화는 지적, 미적, 사회적 연구 대상이었지만, 오늘날 영화 연구가 무엇을 할 수 있는지, 현재의 환경에서 무슨 중요성을 갖는지 돌아보아야 할 필요는 절실합니다. 특히 영화를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의 문제도 사고의 전환과 부단한 지식의 성찰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전공 교수자들이 어떠한 방향으로 수업을 개발하고, 영화 교육을 설계해야 할 지 기로에 서있는 것이 사실입니다. 이번 특별 학술강연 시리즈는 "영화이미지", "몽타주", "현대 중국 영화"라는 영화학의 주요한 분야에서 괄목할 만한 성과를 쌓아온 석학 전문가 세 분을 모셔보았습니다. 이 세 가지 분야가 영화학에서 역사성과 시사성을 가지면서 이론적으로 어떤 새로운 인식론에 도달하게 되는지, 연구와 교육이 각 분야에서 어떠한 방향으로 나아가면 좋을지 강연을 청하여 들어보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일본미학의 주요 개념과 현대적 양상」 작성자 강지원 조회 112 첨부파일 0 작성일 2022.03.05 부산대학교 영화연구소 정기 콜로키움 CINE-NETWORK ON (시네-네트워크 온) 포스트 냉전 이후 초연결 시대의 동아시아 영화-네트워크 연구에 대한 개념 인식의 기초적 토대를 마련하기 위해 부산대학교 영화연구소는 정기 콜로키움 CINE-NETWORK ON 「일본미학의 주요 개념과 현대적 양상 : 모노노아와레, 와비와 사비」 (신나경, 부산대학교 조형학과 교수) 을 개최합니다. 이 강연은 일본 미학의 주요 개념인 모노노아와레(もののあはれ), 와비(わび), 사비(さび)의 개념과 그 특징에 대한 소개를 통해 그 흐름을 살펴볼 예정입니다. ◆ 일 시 : 2022년 2월 10일(목) 오후 16:30 ◆ 장 소 : 부산대학교 예술관 241호◆ 문 의 : 부산대학교 영화연구소 (cinema@pusan.ac.kr / 051-510-7391)◆ 주 최 : 부산대학교 영화연구소 - 예술문화영상학과◆ 주 관 : 부산대학교 영화연구소 - 예술문화영상학과◆ 후 원 : 대한민국 교육부 - 한국연구재단 「포스트 다큐멘터리 연구와 성과 확산」 작성자 강지원 조회 141 첨부파일 0 작성일 2022.03.05 부산대학교 영화연구소 정기 콜로키움 CINE-NETWORK ON (시네-네트워크 온) 포스트 냉전 이후 초연결 시대의 동아시아 영화-네트워크 연구에 대한 개념 인식의 기초적 토대를 마련하기 위해 부산대학교 영화연구소는 정기 콜로키움 CINE-NETWORK ON 「포스트 다큐멘터리 연구와 성과 확산」(김이석, 동의대학교 영화학과 교수)을 개최합니다. ◆ 일 시 : 2021년 12월 16일(목) 오후 16:30 ◆ 장 소 : 부산대학교 성학관 810호◆ 문 의 : 부산대학교 영화연구소 (cinema@pusan.ac.kr / 051-510-7391)◆ 주 최 : 부산대학교 영화연구소◆ 주 관 : 부산대학교 영화연구소◆ 후 원 : 대한민국 교육부 - 한국연구재단 「테크놀로지, 국가, 그리고 트랜스내셔널리즘」 작성자 강지원 조회 94 첨부파일 0 작성일 2022.03.05 부산대학교 영화연구소 정기 콜로키움 CINE-NETWORK ON (시네-네트워크 온) 포스트 냉전 이후 초연결 시대의 동아시아 영화-네트워크 연구에 대한 개념 인식의 기초적 토대를 마련하기 위해 부산대학교 영화연구소는 정기 콜로키움 CINE-NETWORK ON 「테크놀로지, 국가, 그리고 트랜스내셔널리즘 : 아시아 스튜디오 네트워크와 1960년대 한국-홍콩 커넥션」 (싱가폴 난양공과대학교 커뮤니케이션학과 이상준) 을 개최합니다. 이 강연은 '아시아 스튜디오 네트워크'라는 새로운 개념을 제시하면서, 냉전기 한국 영화가 동남아시아의 시노폰 시네마 (Sinophone cinemas)와 맺었던 영화 네트워크를 추적하고자 합니다. 1960년대 영화 스튜디오들의 부상이라는 아시아 영화 연구에 있어 상당히 중요한 전후의 현상을 이론화하고 역사화하고자 하는 장기 프로젝트의 시작점이기도 합니다.냉전기 아시아 영화산업의 흐름을 분석하고, 일국사의 관점에서 연구되는 아시아의 영화사를 트랜스내셔널 영화사의 틀에서 재해석하고자 하는 흥미로운 자리가 될 것입니다. ◆ 일 시 : 2021년 12월 9일(목) 오후 16:30 ◆ 장 소 : 부산대학교 인덕관 강의실2 ◆ 문 의 : 부산대학교 영화연구소 (cinema@pusan.ac.kr / 051-510-7391)◆ 주 최 : 부산대학교 영화연구소 - 예술문화영상학과◆ 주 관 : 부산대학교 영화연구소 - 예술문화영상학과◆ 후 원 : 대한민국 교육부 - 한국연구재단 「현대 한국영화의 지형」 작성자 강지원 조회 129 첨부파일 0 작성일 2022.02.18 부산대학교 영화연구소 정기 콜로키움 CINE-NETWORK ON (시네-네트워크 온) 포스트 냉전 이후 초연결 시대의 동아시아 영화-네트워크 연구에 대한 개념 인식의 기초적 토대를 마련하기 위해 부산대학교 영화연구소는 정기 콜로키움 CINE-NETWORK ON 을 개최합니다. 11월 4일 진행되는 이번 첫 강연에서는 경희대학교 연극영화학과 이효인 교수님이 「현대 한국영화의 지형 연구와 개념 검토」라는 제목으로 1990년대 한국영화의 장르, 사회문화적 경향 그리고 영화를 대하는 태도 등 시대를 둘러싼 기류를 진단하려 합니다. ◆ 일 시 : 2021년 11월 4일(목) 오후 16:30 ◆ 장 소 : 부산대학교 예술관 241호 ◆ 문 의 : 부산대학교 영화연구소 (cinema@pusan.ac.kr / 051-510-7391)◆ 주 최 : 부산대학교 영화연구소 - 예술문화영상학과◆ 주 관 : 부산대학교 영화연구소◆ 후 원 : 대한민국 교육부 - 한국연구재단 처음 1 끝 처음 끝